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현행범2

체포시 피의자의 권리는? 체포란 수사기관이 피의자의 신체를 잡아 일정 기간동안 유치장 등 장소에 유치하는 것을 말하며, 체포의 종류에는 현행범 체포, 긴급체포, 법관이 발부한 체포영장에 의한 체포가 있습니다. 체포는 사람의 신체에 대한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행위이므로, 이는 필요최소한으로 행사하여야 하고, 체포 시에도 형사소송법이 정하는 변호인 선임권 등을 반드시 피의자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1. 체포 시 피의자의 권리는?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 등의 수사기관은 피의자를 체포할 경우(현행범 체포, 긴급체포, 체포영장에 의한 체포의 경우 모두 포함) 피의사실의 요지, 체포의 이유, 변호인 선임권을 알려주어야 하며, 피의자에게 변명할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형사소송법 제200조의5). 피의사실의 요지는 체포를 당하는 사람이 받고 있.. 2022. 1. 8.
현행범 체포, 체포영장에 의한 체포, 긴급체포 등 체포의 종류 형사사건과 관련하여 수사기관으로부터 죄를 저질렀다고 의심을 받아 수사의 대상이 되어 있는 사람을 피의자라고 합니다. 범죄를 저지르지 않고 평범하게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피의자가 될 가능성이 낮으나 범죄에 대한 법률적인 지식이 부족한 경우 자신의 행동이 범죄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 상태에서 나도 모르게 범죄를 저지를 수도 있습니다(특히, 권리관계 등이 복잡한 경우 관련 법률을 잘 숙지하셔야 하겠습니다). 1. 체포 체포의 사전적 의미는 사람의 신체에 직접적인 제약을 가하여 행동의 자유를 빼앗는 일을 말합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형사소송법에서는 수사기관이 법관이 발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거나 일정한 요건을 충족할 경우 피의자를 잡아 일정 기간동안(최대 2일, 48시간) 피의자를 유치장 등에 유치하는.. 2022. 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