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2 투자목적금융자산의 채무상품 중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의 회계처리 투자목적의 금융자산은? 투자목적의 금융자산은 크게 채무상품과 지분상품이 있다. 채무상품은 크게 계정 3가지로 구분이 가능하다. 지분상품은 크게 계정 2가지로 구분이 가능하다. 채무상품은 AC금융자산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 원리금으로만 구성 + 수취목적만 FVOCI 금융자산 : 원리금 + 수취목적+매매목적 FVPL 금융자산 : 매매목적 지분상품은 원칙적으로는 FVPL자산이지만 예외적으로는 FVOCI자산으로 선택이 가능하다. AC금융자산, 즉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 기타목적으로 발행한 금융부채 2022. 1. 11. 투자목적의 금융자산 계정분류 금융상품이란? 금융상품에는 금융자산, 금융부채, 지분상품이 있다. 금융상품은 거래당사자 일방에게 금융자산을 발생기키고 동시에 다른 거래상대방에게 금융부채나 지분상품을 발생시키는 모든 계약을 의미한다. 금융상품의 “보유자”는 “금융자산”으로 보유한다. 금융상품의 ‘발행자’는 ‘금융부채’(지급의무O), ‘지분상품’(자본금 등)(지급의무X)을 발생시킨다. Q. 금융부채가 아닌건은? 투자 풋옵션 풋옵션은 많이들 들어봤을 것이다. 투자풋옵션은 잠재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금융자산을 수취하기로 한 계약상 권리로서 금융자산이다. Q. 금융부채인것은? 매입채무, 발행콜옵션, 주식결제채무 금융자산이란? 금융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1.현금과 예금, 다른 기업의 주식 2.현금 등 금융자산을 수령할 권리(채권) :매출채권, .. 2022. 1.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