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alkom’s Money

풋옵션 콜옵션 알고 투자합시다.

by dalkomhaessal 2022. 1. 19.
반응형

 

 

 

콜 옵션?과 풋 옵션?
그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우선 Option 이란?

코스피 종합지수의 상승 또는 하락으로 차익을 얻는 금융상품으로
미래에 기초 제품을 사고 팔 수 있는 권리를 거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Call Option (콜옵션)이란?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사전에 정한가격으로 

지정한 날짜 혹은 그 전에 매수 할 수 있는 권리로

초기 자산을 약정된 가격으로 미래의 특정시점에 매입을 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다른 말로는 만기가 되기 전에 

채무자가 빚을 갚을 수 있는 권리이기도 합니다.

 

즉 매수자 입장에서는

기초 자산의 가격이 상승하면 이익을 얻게 됩니다.

 

예를 들어,

A지수를 한 달 뒤에 100만원에 살수 있는 Call Option 을 가지고 있는데,

한 달 뒤, A가 110만원이 되면

이를 보유한 투자자의 입장에서 110만원짜리 A를 100만원에 취득할 수 있게 됩니다.

즉 10만원의 수익을 얻게 됩니다.

 

 

 

Put Option (풋옵션)이란?

 

팔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주식이나 채권을 일정가격에 되팔 수 있는 권리]

 

 

사전에 정한 가격으로

지정한 날짜 혹은 그 전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로 

초기 자산을 약정된 가격으로 미래의 특정시점에 매도할수 있는 권리입니다.

 

다른 말로는 만기 전에

채권자가 빚을 갚으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예를 들어,

A를 한달 뒤에 100만원에 팔 수 있는 Put Option 을 가지고 있는데,

한 달 쥐 A가 90만원이 되면

이를 보유한 투자자의 입장에서 90만원짜리를 100만원에 팔 수 있습니다.

즉 10만원 만큼 수익을 얻게 됩니다.

 

매도자의 입장에서는

기초자산의 가격이 하락하면 이익을 얻게됩니다.

 

 

다시 설명하자면,

풋옵션 매수자는 매도자에게 옵션가치인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사전에 정한 가격'으로 '일정시점'에 기본자산을 매도할 권리를 소유하게 됩니다.

 

풋옵션매도자는 프리미엄을 받는 대신 풋옵션매수자가 권리행사를 할 경우,

그 기본자산을 '미리 정한 가격'에 사줘야 할 의무가 생깁니다.

 

풋옵션매수자는 만기일에 기본자산의 시장가격이 행사가격보다 낮으면,

시장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파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권리를 행사하면 됩니다.

 

하지만, 만기일에 시장가격이 행사가격보다 높을 경우에는

풋옵션매수자는 직접 시장가격으로 기본자산을 파는 것이 더 유리하기 때문에

옵션행사를 포기하면 됩니다.

 

 

즉 풋옵션에 투자를 한 기관은 가격하락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풋옵션상품을 보험 성격의 상품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채에 투자를 한 경우에 해당기업이 도산을 하게되면

투자금을 모두 잃게 되지만,

풋옵션에 들었다면

최소한 보증된 돈은 벌 수 있다.

 

 

 

 

 

따라서 콜옵션이나, 풋옵션 모두

미래시점에 매수와 매도할 권리를 현재시점에 획득해 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