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민등록증 인터넷으로 재발급될까요?
안녕하세요,
달콤햇살입니다.
오늘은 주민등록증 인터넷 재발급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제가 이사를 하면서 주민등록증 분실을 해서 재발급을 해야해서
주민센터까지 가야하나 했더니,
집에서 인터넷으로도 재발급이 가능하더라구요.
그래서 오늘은
집에서 모바일로도 손쉽게
주민등록증 인터넷 재발급을 할 수 있는 방법
그리고 필요한 준비물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할게요.

인터넷 재발급시 준비물 알아보아요.
필수준비물 : 증명사진파일 , 수수료5천원
먼저 필수 준비물은 증명사진 파일입니다.
증명사진 파일을 jpg파일로 준비해주시면 되어요.
그리고 수수료는 5천원이 드는데 수수료는 핸드폰으로 전자결제가 가능합니다.
아래쪽에 자세하게 설명할게요.
그리고 증명사진을 휴대폰으로 만드는 방법은 아래쪽에 따로 링크를 걸어두겠습니다.
참고 하셔서 집에서 편하게 증명사진을 파일로 만들어 보세요.

주민등록증 인터넷 재발급 신청과정 및 방법
인터넷 재발급 신청과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정부24어플을 깔고, 회원로그인을 하거나 비회원 로그인을 하면 됩니다.
회원로그인시 보통은 공동인증서나 금융인증서가 필요해서 까다로웠었습니다.
그런데 회원 로그인시에도 간편인증이 가능해서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없이도
카카오톡 등을 이용하여 “간편인증”으로 로그인이 가능하답니다.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없어도 되어요!!!!!”
“카카오톡 등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하기!!!!”
그러면 자세한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정부 24 어플깔기
먼저 정부 24 어플을 깔아줍니다.
아이폰도 안드로이드폰도 “정부24”를 검색하면 어플이 나온답니다.
모바일로 네이버에서도 연동이 되나 결국 마지막에는
요 어플로 들어가서 로그인을 해야하니
처음부터 어플까고 이용하시는게 편하답니다.
아래 화면은 정부24어플의 메인 화면입니다.

여기서 “로그인”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회원로그인과 비회원로그인 선택하는 창이 나옵니다.
비회원 로그인을 하면 민원서비스중 서비스를 신청 발급하는 경우 제한이 있을 수 있기에
회원 로그인을 선택합니다.
회원로그인시 공동인증서 버튼때문에 난감하실수 있는데요.
공동인증서 로그인 외에 “간편인증” 으로도 로그인이 가능하답니다.
2. 카카오톡 간편인증
이번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회원로그인 탭으로 들어가면 로그인 방식이 선택이 가능합니다.

공동인증서 아래에 있는 간편인증버튼을 눌러서 로그인을 하면
공동인증서나 금융인증서가 없어도 손쉽게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간편인증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여기서 저는 카카오톡 간편인증 방법을 선택했습니다.
카톡 사용안하시는 분들이 없으시니 카톡간편인증이 가장 손쉽답니다.
이름과 생년월일 그리고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누르면됩니다.
그렇게 하면 카톡창으로 넘어갑니다.
카톡어플로 자동 연결되면서 내 정보로 인증하겠습니까?
하는 창이 뜹니다.

이 창에서 필수 개인정보 제3자 제공동의 란에 체크를 한 후에
인증하기 노란버튼을 누르면 카카오톡으로 간편인증이 완료 되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정보 24어플에 들어가면 된답니다.
3. 정부24 주민등록증 재발급 창에서 증명사진 업로드하기
간편인증 후 다시 돌아온 정부24앱에서 주민등록증 재발급이라는 검색어로 검색을 합니다.
아래의 파란창에 검색어를 쓰기면 됩니다.

검색을 하면 아래에 주민등록증 재발급 신청이 보이고 밑줄 쳐 져있는 그 부분을 누르시면 연결이 된답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민원안내 및 신청으로 연결이 됩니다.

신청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처리기간이 총 20일이 소요된다고 하니,
필요하신 분들은 미리미리 만들어 주시는게 좋을꺼같아요.
그리고 주민등록증재발급 신청을 눌러줍니다.
재발급 철회도 가능하지만 시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재발급 신청을 하면 아래와 같이 신청내용을 기입하게 되어있습니다.
성명, 주민등록번호 앞자리 그리고 주소 연락처를 넣으면 됩니다.
재발급 사유란도 체크를 해야합니다.

저는 분실을 했기 때문에 분실란을 체크했습니다.
저는 수령안내메시지 서비스 신청을 했고
점자스티커제공서비스는 미신청을 했습니다.
그리고 확인 앞쪽에 체크를 해주면 됩니다.
이 과정을 끝내고 나면
증명사진 제출페이지로 넘어갑니다.
혹 증명사진이 없으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m.site.naver.com/0SxCj
셀프증명사진 만드는법, 주민등록증인터넷재발급, 유치원입학원서에 사용할 증명사진 핸드폰으
안녕하세요, 달콤햇살입니다. 오늘은 다들 궁금해하시는 집에서 찍은 휴대폰 사진으로 휴대폰 내 어플을 사용하여 증명사진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물론 이 증명사진파일로 인터넷
dalkomhaessal.com

증명사진은 미리 사진함에 다운을 받아두시면 됩니다.
주민등록증에 들어갈 증명사진 사이즈는 3.5cm X 4.5cm 입니다.
인터넷으로 증명사진 작업시 픽셀을 어떻게 설정해야할지 난감해질때가 있는데요.
픽셀이 너무 낮을 경우에 화질이 깨져서 얼굴이 흐리게 나올수 있습니다.
그래서 827픽셀 X 1049 픽셀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증명사진은 jpg 파일이어야합니다.
저는 사진관에서 찍어둔 사진 파일이 있어서 이 파일을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6개월이전에 촬영한 사진은 불가하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원하시는 사진을 클릭해서 첨부하면 끝입니다.
그리고 수령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개인정보가 담겨있는 주민등록증은 우편수령이 불가하며
직접방문을 통한 수령만 가능합니다.
신청은 인터넷으로 가능하지만,
수령은 직접방문해야한다는 점을 참고하세요.
다행스러운것은
재발급 주민등록증의 경우
전국 어느 주민센터에서나 수령이 가능합니다.
아래와 같이 수령기관을 선택하면 된답니다.

민원접수기관명을 검색하라고 되어있는데,
원하는 동주민센터를 검색하여 선택하면 된답니다.


그리고 민원신청하기를 누르면 신청이 완료됩니다.

4. 수수료 결제하기
수수료는 5000원입니다.
실제로는 부가세 포한 5200원입니다.
수수료 결제수단으로는 카드, 계좌이체, 휴대폰결제, 간편결제 등이 가능합니다.
수수료결재로 모바일로 가능하며
휴대폰청구서에 추가해서 결재도 가능합니다.
원하시는 방식으로 결재를 하면 된답니다.
재발급 주민등록증은 신청한 수령장소에서 6개월 이내 수령을 해야합니다.
3년이 지나면 폐기가 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기타. 주민등록증 재발급확인서
주민등록증 재발급은 인터넷으로 신청이 가능하지만,
주민등록증 재발급확인서는 인터넷발급이 안됩니다. 무인발급도 안되구요.
꼭 주민센터 창구에서 확인서를 받으셔야하니 이 부분 확인해주세요.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