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이데이터 관련주 데이터플랫폼기업 아톤 핑거 쿠콘

by dalkomhaessal 2022. 1. 1.
반응형





마이데이터란?


마이데이터는 분산된 개인 신용정보를 한 곳에 모아 보여주고
재무현황과 소비습관을 분석해서 금융상품을 추천하는 등 자산관리와 신용관리를 돕는 서비스다.

쉽게 말해서 행정기관과 공공기관이 보유한 개인의 데이터들을
그 정보의 주체인 개인이 직접 주도적으로 활용하게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때 은행에거 필요한 서류가 10장이라면,
대출을 받기위해 은행 10군데를 가게되면 서류가 100장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마이데이터 사업을 시행하게 되면
나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해서 활용이 가능해 따로 서류가 필요가 없게 된다.

마이데이터 모델서비스(금융위원회)


api 방식을 통한 금융 마이 데이터가 전면으로 실시된다.

1. 은행 : 예, 적금, 잔액, 대출 및 상환정보
2.보험:주계약특약사항, 보험료 납입내역 등.
3.금투 : 주식매입금액, 수량, 평가등
4. 이전 : 카드 결제 내역, 청구액, 포인트 현황 등.
5. 전자금융 : 선불 충전금, 잔액, 결제내역 등
6. 통신 : 통신료 납부, 청구내역, 소액결제 등
7. 공공 : 국세, 관세, 지방세, 연금보험료, 납세증명 등

이러한 모든 정보가 통합이 되어서 한 번에 확인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마이데이터시행으로 인해 수혜를 입을 기업은
단연 “데이터 플랫폼 기업”이자 “보안업체”이다.



데이터플랫폼기업, 보안업체


데이터 플랫폼 기업과 보안업체들이 마이데이터시행으로 큰 수혜를 입게 될 것이다.

그 중, 아톤, 핑커, 쿠콘 이 있다.


아톤


핀테크 보안 회사로 유명한 기업인 아톤입니다. 본인 인증 시 사용하는 pass앱이 아톤의 대표적인 사업모델이였다. 핀테크 보안 솔루션, 핀테크 플랫폼, 스마트 금융 크게 세 가지가 아톤의 대표적인 사업모델이다. 서비스 경쟁력 부분에서 주목할 만한 회사이다.




국내 금융권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보안, 인증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의 사용 증가로 인해 보안과 인증시장의 규모도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이 된다.

특히 마이데이터내의 신용정보관리 서비스는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이 될 예정이다. 데이터 관련 서비스의 보안·인증 시스템 구축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 아톤은 디지털 자산을 신뢰하고 위탁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는 커스터디전문회사로서 보안인증시스템 구축, KYC, 자금세탁방지(AML) 등 가상 자산운용사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한다.

아톤은 NH농협 전자서명 인증시스템 구축 사업에 화이트박스 암호화 기술 기반의 민간 인증 솔루션 MPKI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NH농협은행이 전자서명 인증사업자 자격을 취득해 관련 사업을 확대하고 고객에게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자서명 인증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아톤은 NH농협은행 뿐 아니라 헥스랜드, 갤럭시 머니트리, 한국정보통신과 합작법인 칼드에 전략적 투자를 하면서 디지털 자산시장에 진출을 한 상태이다.



핑거


핀테크는 핀테크전문기업으로 비대면 대출솔루션과 비정형 데이터 기반의 신용평가모형을 자체 개발하여서 여러 금융기관에 공급을 하고 있다. 이러한 핀테크가 핑거의 자회사이다.

또한 핀테크는 금융위원회로부터 지정대리인, 혁신금융사업자를 인가받았고 마이데이터사업자를 허가받았다.







쿠콘


쿠콘은 비지니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연결해서 표준화된 형태로 제공을 하는 데이터 전문기업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쿠콘은 국내 금융사와 공공기관 등의 500여개 이상 기관의 데이터를 매일 수집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API상품을 만들어서 기업에게 제공하는 B2B기업이다.
데이터 전문기업인 쿠콘은 기존의 금융서비스에 다양한 비금융 데이터를 접목해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려 한다. 금융서비스를 넘어서 2022년 의료, 유통 등 데이터 상품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관련 기업과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
쿠콘은 유통데이터를 기존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 숙박, 배달 앱 과 수출입물류, 지급결제사 등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반응형

댓글0